제주 출신의 민주당 강창일·김우남·김재윤 의원은 15일 공동성명을 내고 "야5당이 제주 해군기지 조사보고서 발표와 국회 예결위를 통한 해군기지 문제를 논의하기로 합의한 시점에 정부가 경찰력을 동원한 것은 국회와 국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국회와 제주도민의 의사를 무시한 공권력 투입이 감행된다며 이로 인한 모든 책임은 정부가 져야하며 국회에서의 책임 추궁, 관련 예산 삭감 등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문대림 제주도의회 의장도 이날 성명에서 "강제진압은 강정마을 뿐만 아니라 도민사회에 커다란 반항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며 "정부 등은 공권력 행사를 통한 강제 진압의 해결방법에서 벗어나 대화로 합의점을 찾고, 평화적 해결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제주자치도와 도의회가 16일부터 해군기지 갈등 해결을 위한 임시회를 열기로 한 상태에서 공권력 투입 운운 등은 도민의 대의기관을 무시하는 행태"라며 "제주지사는 국무총리실 등에 공권력 투입 자제를 건의해라"고 촉구했다.
이보다 앞서 야5당 제주도당도 "공권력을 투입한 강제진압은 대규모 물리적 충돌이 불가피해 대화와 타협을 통한 문제해결은 영영 물건너 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정마을 주민과 제주 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대책위원회도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해군의 폭력적인 행위에 의연히 맞서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제주해군기지 저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 등도 서울 청계광장에서 '제주 주민과 함께하는 강정 해군기지 건설 백지화 촉구 시민평화행동'이란 집회를 열고 "해군기지에 대한 탄압은 제2의 4·3과 같다"며 강정마을을 지켜줄 것을 호소했다.
한편 경찰은 지난 14일 600여명의 수도권 지역 전경과 여경기동대, 물대포, 진압 장비차량 등을 제주지역에 투입했으며, 제주지방경찰청은 이날 "조만간 재개될 해군기지 공사시 반대단체의 업무방해 행위 등 불법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