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충격은 불가피하다면서도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P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 조정으로 주 초반 증시가 높은 변동성을 보일 전망이다.
강현철 우리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충격이 주 초반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다만 미국 정부가 발빠른 대응에 나선데다 국제 사회의 공조도 이끌어 낼 수 있어 증시가 큰 충격에 빠지진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주이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S&P가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한 직후 연준은 해당 요인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에게 보유 중인 미국채에 대해 위험가중치를 상향할 필요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며 “금융기관은 추가적인 충당금을 쌓을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자본확충도 필요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신용등급 강등에 따라 미 연준이 QE3를 단행할 당위를 얻었다는 해석도 있다.
조성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태로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3차 양적완화(QE3)를 단행해 미국 국채시장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힘을 얻을 것”이라며 “유럽중앙은행의 시장 개입과 일본 중앙은행의 추가 양적완화 정책에 이어 미국의 QE3가 진행되면 과잉 유동성이 다시 하반기 증시의 유동성 랠리를 촉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과거 일본과 같이 주요국의 신용 등급 강등시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는 점도 위안이다.
이철희 동양종금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신용 강등 해당 국가의 주가는 강등 전월과 강등 후 2개월을 비교하면 3개월 동안 평균 9% 상승했다”며 “강등 당시 증시가 하락한 사례는 캐나다(1994년) 7%, 일본(1998년) 5% 등이 있지만 이 경우에도 강등 후 1개월부터 재차 상승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