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틀린 국제공조…환율전쟁 재발하나

2011-08-07 14:51
  • 글자크기 설정

美 'QE3' 가능성↑…'환율전쟁' 새 국면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세계 경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미국과 유럽은 재정위기로 신음하고 있고 성장세 둔화는 더블딥(이중침체) 우려를 낳고 있다. 일각에서는 2008년 리먼사태로 불거진 금융위기가 원점으로 되돌아왔다며, 새로 시작된 위기의 충격은 3년 전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제공조가 약화된 것이 우려를 더하고 있다. 3년 전 금융위기가 불거졌을 때 주요 20개국(G20)은 일제히 기준금리를 낮추고, 대규모 부양자금을 동원해 세계 경제회복에 힘을 모았다.

최근 3년간 달러인덱스 추이(출처 CNBC)
하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 국가 재정위기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부양 여지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재정을 대거 풀어 경기를 부양할 수 없게 된 미국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의 힘을 빌 공산이 커졌다는 점이다. 시장에서는 이미 제로(0) 수준인 기준금리를 더 낮출 수 없는 연준이 달러화를 찍어 시중에 돈을 푸는 양적완화 카드를 다시 꺼내들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연준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은 또 다른 우려를 부추기고 있다. 양적완화로 달러화 약세 기조가 강화되면 지난해 불거진 '환율전쟁'이 재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준은 금융위기 이후 두 차례의 양적완화를 통해 시중에 수조 달러를 공급했고,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달러인덱스)는 10% 가까이 추락했다. 그 여파로 신흥국 통화 가치는 급등했고, 지난해 전 세계는 선진국과 신흥국 진영으로 나뉘어 자국 통화 약세 경쟁을 벌였다. 수출 경쟁력을 높여 경제 회복세에 힘을 실기 위해서였다.

시장에서는 연준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환율전쟁이 이미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고 판단하고 있다. 캘럼 헨더슨 스탠다드차타드 외환 리서치 부문 글로벌 책임자는 "다시 불붙은 환율전쟁은 신흥국이 달러화 약세에 대응하는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며 "앞으로 각국 외환당국의 시장 개입은 더 잦아지고, 달러화에 대한 악감정도 더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조짐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일본 외환당국은 지난 4일 엔고 저지를 위해 엔화를 대거 팔아치우는 방식으로 시장에 개입했고, 전날에는 스위스 중앙은행(SNB)이 환율 방어를 위해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했다. 같은날 터키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낮췄다. 통화 강세가 두드러진 캐나다와 뉴질랜드 중앙은행도 곧 행동에 나설 것으로 시장은 관측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로이터는 국제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G20의 공조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분석했다. 위안화 절상 여부를 두고 선진국 진영과 중국이 주도하는 신흥국 진영이 맞서고 있기 때문에 G20이 외환시장에 공동 개입하는 결정을 내리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