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시장 추석차례상 비용 23만8천원…21%↑”

2011-08-07 09:59
  • 글자크기 설정
올해 추석 차례상을 준비하는 비용이 작년보다 20%가량 더 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한국물가정보가 올해 서울 경동시장을 기준으로 조사해 7일 발표한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은 4인 가족이 국산(어탕용 동태는 러시아산, 조기는 중국산) 제품으로 한 상을 준비할 때 23만8천200원이다.

이는 작년에 조사한 결과(19만7천원)보다 20.9% 상승한 것이다.

대형 할인점에서 같은 제품을 구입할 때 드는 비용은 30만8천204원으로 재래시장보다 7만원(29%)가량 높았다.

재래시장을 기준으로 주요 품목을 살펴보면 과일은 폭우와 불볕더위로 상품성이 떨어져 상·하품 간 가격 차가 커졌다.

특히 제수용 최상품은 반입량이 줄면서 가격이 60% 가까이 올랐다.
사과는 지난해 한 개 3천500원이던 것이 올해 5천원으로 올랐고, 배는 4천원에서 7천500원으로 뛰었다.

중·하품은 개당 2천∼3천원에 가격대가 형성됐다.
견과류는 보합세로 곶감(10개)이 1만원, 대추(400g)와 밤(900g)은 각각 4천원 선이었다.

날씨 탓에 나물 값도 크게 올랐다.
시금치 1단은 3천원으로 50%, 숙주 400g은 1천원으로 42% 치솟았다.
국산 고사리와 도라지는 400g에 6천원씩으로 작년과 비교하면 20% 정도 오른 수준이었다.

조기는 수조기(부세) 한 마리가 2천∼7천원에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품 기준(길이 25∼30㎝)으로 3마리에 1만8천원 선이었다.

가격은 50% 올랐지만, 크기가 작년보다 커져 실제로는 덜 오른 셈이라고 협회는 설명했다.

육류는 돼지가 구제역으로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있고, 소는 사육두수가 늘어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다.

고기 전을 만들 때 쓰이는 돼지 앞다리살은 600g에 6천600원이던 것이 9천원으로 36% 상승했고 한우 양지 국거리(A1+등급)는 같은 양이 2만원에서 2만2천원으로 10% 올랐다.

채소는 배추 1포기 5천원, 무 1개 3천500원으로 작년보다 각각 25%, 40% 상승했으며 약과, 산자 등 전통 과자류도 14∼33% 비싸졌다.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송편은 쌀값 등에 의해 시세가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