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우리금융 일괄매각보다 분할매각"… 사모펀드는 결사반대

2011-07-24 15:09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호 이수경 장기영 기자) 정치권이 우리금융지주 일괄매각 방안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지분 분산매각이나 계열사 분리매각 등 우리금융을 쪼개 파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또 사모펀드가 우리금융을 인수하는 데 대해서는 결사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

24일 정치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우리금융 민영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행사하고 있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은 정부가 결정한 우리금융 일괄매각 방안에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박선숙 민주당 의원은 “우리금융을 통째로 다른 금융지주회사에 넘기는 방식은 맞지 않다”며 “지분 블록세일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의 조영택 의원은 “우리금융 지분을 단계별로 매각하면 시세차익 등을 통해 공적자금을 더 많이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우리은행과 우리투자증권 등 계열사별로 분할 매각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김정 미래희망연대 의원은 “우리금융의 덩치가 너무 커서 줄일 필요가 있다”며 “공정위원회에서도 다른 금융지주회사에 우리금융을 넘길 경우 시장점유율이 너무 높아진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만큼 분할 매각을 추진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조문환 의원은 “정부가 처음에는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등 지방은행 계열사를 분리 매각키로 했다가 갑자기 일괄매각으로 돌아서는 등 명확한 매각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같은 당의 고승덕 의원은 “은행이 재벌의 사금고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산업자본의 참여도 고려할 수 있다”며 “산업자본을 무조건 배제했기 때문에 사모펀드 등의 투기적 세력들이 우리금융 인수에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제안한 국민공모 방식에 대해서는 찬반이 팽팽히 맞섰다.

전체 22명의 정무위 소속 의원 중 10명이 국민공모 방식에 찬성했다.

그러나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을 수정 및 폐기하는 데 대해서는 정치적 부담을 의식해서인 듯 부정적인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

이 때문에 국민공모 방식이 현실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성헌 한나라당 의원은 “우리금융 민영화는 시장 상황도 고려해야 하지만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도 준수해야 한다”며 “국민공모 방식을 채택한다면 현실적으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을 포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만큼 바람직하지 않다”고 입장을 전했다.

우리금융을 사모펀드(PEF)에 넘기는 방안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의원들이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MBK파트너스와 보고펀드, 티스톤파트너스 등 사모펀드 3곳이 참여한 우리금융 매각 예비입찰도 유찰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나라당의 이범래 의원은 “론스타의 먹튀 논란에서 볼 수 있듯이 금융회사를 사모펀드가 인수하는 것은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이성남 의원도 “사모펀드는 기본적으로 투자자들의 단기 이익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체계이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