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은 당장 국내 은행의 외화유동성에 큰 문제는 없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유럽발 금융위기’의 징후가 포착됐기 때문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은행권과 공동으로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12개 시중은행의 외화유동성 점검에 나섰다고 연합뉴스가 24일 보도했다.
금융위는 지난 22일 열린 TF 첫 회의에 이들 은행의 자금담당 부행장들을 불러 국제적인 불안요인에 대비해 전반적인 외화유동성 상황을 점검하고 위기 대응책을 강화하도록 주문했다.
금융위는 TF 회의에서 은행들이 외환부문의 '스트레스 테스트'(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모의실험)의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테스트 기준을 균질화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는 아울러 은행들이 외화 안전자산과 '외화 커미티드라인‘(마이너스대출 성격의 금융회사 간 단기 외화차입선)을 더 많이 확보하고 외화 관련 정보교환을 원활히 하도록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시장 일각에선 은행 외화유동성에 문제가 생겼거나 외국계은행을 중심으로 외화가 급격히 빠져나갈 징후가 포착된 게 아니냐는 섣부른 관측도 나오고 있다.
금융위가 외화자금 문제와 관련해 은행들을 부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오는 25일 열리는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의 첫 거시정책협의회에서도 물가문제와 더불어 해외 위험요인 점검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지난 22일 금융협의회에서 은행장들에게 “공급자 측면에서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유럽계 자금은 전체 외국인 자금의 49~50% 정도”라며 “외화자금 수요자인 은행 입장에선 3분의 1이 조금 넘기 때문에 유럽 문제가 국내에 간접적으로 대단히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아직 국내 은행의 외화유동성에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지난달 말 현재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외화자산을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3개월 외화유동성 비율’은 100.3%로 지도기준(85%)을 넘었으며, 다른 외화유동성 지표도 안정적인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최종적인 대외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외환보유액은 지난달 말 3천44억8천만달러로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지만, 여기엔 보유 채권의 평가손이 반영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