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는 18일 이사회를 통해 1천억원 이내에서 출자, 이동통신사업에 참여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기존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LTE(롱텀 에볼루션)에 주력하는 것과 달리 '4G 와이브로'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중앙회를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에는 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이 참여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앙회 관계자는 "아직 사업 추진을 결정한 것뿐 구체적인 추진 방식이나 어떤 기업이 참여할지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가 없다"면서도 "삼성전자의 경우, 와이브로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만큼 꼭 참여토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 밖에도 대기업들의 자금이나 기술력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앞서 2번에 걸쳐 이동통신사업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한국모바일인터넷(KMI)에도 400억원 상당의 현물출자를 했으며, 이번 컨소시엄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참여할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KMI나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의 협력 여부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중앙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중앙회는 이날 이사회에서 결정된 사항에 따라 컨소시엄 구성 등 실무 작업을 마치는 대로 방송통신위원회에 사업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중앙회 측은 "중소기업들의 사업 영역을 넓힌다는 명분이 충분하기 때문에 방통위에서도 충분히 허가를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