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1월1일~7월14일 ETF 95개 종목 일평균 거래량이 1만주에 못 미치는 종목은 50개로 절반 이상이었다.
이 가운데 일평균 거래량이 1000주 미만인 곳은 TIGER 국채3가 58주, KINDEX F15는 112주, TIGER 라틴은 190주, KINDEX 국고채는 560주, TIGER KRX100은 597주, KINDEX 코스닥스타는 815주로 6개다.
이에 비해 KODEX 레버리지는 하루 평균 606만8778주나 거래됐다. KODEX 인버스 467만3051주, KODEX 200이 170만7692주, KODEX 삼성그룹 70만5387주, TIGER 레버리지 36만1610주 등 하루 10만주 이상 거래되는 종목은 11개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ETF 거래량 집계에는 유동성공급자(LP)의 일시적 유동성 공급이라는 허수가 포함돼 있어 일반투자자의 실제 거래량은 여기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유동성이 저조할 경우 ETF를 제때 팔지 못해 손실을 키울 수도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적지않은 ETF가 LP유동성 공급으로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며 “유동성 공급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