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 피해아동·장애인, 수사단계부터 국비 변호사 지원

2011-07-13 09:51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내년부터 성폭행을 당한 13세 미만 아동이나 장애인은 수사단계에서부터 국비로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같이 성폭력 피해아동 조력인제에 따라 선임된 변호사는 민·형사 절차를 망라해 포괄적·종합적으로 피해자의 이익을 대변하게 된다.
 
 법무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 개정안을 13일 입법예고했다.
 
 이에 따라 이달 말까지 관계부처 의견 조회와 법제처 심사를 마친 후, 다음 달 국회에 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성폭행 피해자 중 13세 미만 미성년자나 장애인은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이 수사 초기단계부터 법률 조력인을 선임할 수 있으며 비용은 국가가 부담한다.
 
 피해자나 법정대리인의 신청이 있을 때 검사는 즉시 조력인을 지정해야 하며, 별도의 신청이 없더라도 필요한 경우 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게 된다.
 
 사법경찰관이 초기 수사를 담당할 때는 피해자에게 국가가 지원하는 변호사의 도움을 받을 권리와 신청권이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알려야 한다.
 
 사건이 검찰로 송치되고서도 피해자를 재조사할 필요가 있다면 검사는 피해자의 상태나 조사 시기, 방법, 절차 등에 관해 조력인의 의견을 구해야 한다. 재판 과정에서도 이에 해당된다.
 
 형사 절차뿐 아니라 친권상실 청구소송이나 손해배상 청구소송 등 민사절차에서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법무부는 "조력인제 도입에 따라 반복조사 등으로 인한 성폭력 피해자의 2차 피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같은 개정안은 ‘조두순 사건’의 피해 아동인 나영이가 복원수술 2주 만에 배변 주머니를 단 채 수사기관에 힘들게 나와 4차례에 걸쳐 피해내용을 진술했던 고통을 유사 피해자들은 겪지 않게 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제도로 가해자가 친족인 경우처럼 피해자와 보호자의 이해가 엇갈릴 때 피해자 본인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법무부는 전문 조력인 양성을 위해 대한변호사협회, 대한법률구조공단 등으로부터 적임 변호사를 추천받아 명부를 작성할 수 있으며 조력인 예정자에게는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전문교육을 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