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개혁특위는 이날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특위 차원의 공직ㆍ당직선거 개혁안 논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개혁특위는 대선 후보 선출시 일반국민이 경선에 참여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도입하되 특정지역 쏠림현상을 막기 위해 득표율 산정시 투표자의 50%에 대해서는 지역별 인구편차를 감안한 보정 작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총선 후보는 당 공천심사위원회에서 2배수나 4배수로 압축한 뒤 완전국민개방경선 70%, 배심원 평가 30%를 반영하는 방안을 1안으로 채택했다. 다만 1위와 2위 후보간 여론조사 격차가 30% 이상일 경우 공심위가 단수후보 추천도 가능토록 했다.
개혁특위는 총선 비례대표 후보 선출 시 남녀 1인씩을 청년 비례대표 후보로 포함시키고, 기준 연령은 35세 미만으로 한다는 것을 다수안으로 마련했다. 민주당의 국회의원 보좌관 중에서 당 기여도를 고려해 비례대표 후보로 선정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여성의 정치진출을 돕기 위해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의 15% 이상을 여성에 할당하고, 경선시에도 20%의 가산점을 주되 해당지역 당선경험 유무에 따라 가산점을 10% 또는 아예 주지 않는 방안을 마련했다.
당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는 대의원 20%, 당비납부 당원 30%, 일반 당원 50%의 비율로 투표를 실시하고, 대의원의 50%는 여성에 할당하기로 했다.
개혁특위는 이번 논의 결과를 당 최고위원회에 보고하는 등 중앙당 차원의 의결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