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박 장관은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재정위험관리위원회에서 "우리나라 재정이 지출억제와 세수실적 호조에 힘입어 건전성이 예상보다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재정건전성의 지속가능성을 낙관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재정건전성 위협요인으로는 저출산ㆍ고령화 가속화, 잠재성장률 하락, 경제위기 재발 우려, 통일 가능성 등을 꼽았다.
박 장관은 "최근 반값등록금 등 무상복지 논쟁에서 보듯이 내년 정치 일정 전후로 각종 지출요구가 분출하고 재정 포퓰리즘이 확산되고 있다"며 "지금은 돈을 어떻게 쓸 것인가 고민하는 베짱이가 아니라 미래 수요에 대비해 돈을 어떻게 아끼고 모을 것인지 고민하는 개미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도한 복지지출과 정치적 포퓰리즘에 맞물려 방만한 재정으로 어려움을 겪은 1980년대 남미, 1990년대 일본, 2000년 남유럽의 사례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주 열린 한ㆍ일재무장관회에서 일본 측은 한국에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충고한 바 있다.
현재 일본은 고령자가 정책결정을 주도하는 연금민주주의가 지배하고 있어 복지개혁을 추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