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협조해 제3국 공동진출을 위한 융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최 관리관은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수출입은행-일본국제협력은행(JBIC) 공동세미나’에서 “한·일 양국은 새로 도입한 금융규제가 자칫 무역금융을 위축시키지 않도록 공동 대응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를 위해 외국의 모범 협력사례를 참고해 프로젝트 별로 금융조달 대표모델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표본몬델을 만들어 다른 분야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며“이 과정에서 일본의 오랜 경험과 기술, 풍부한 자본이 한국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프로젝트 성격에 맞는 리스크 관리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관리관은 “공동투·융자에 따른 리스크를 상호간 효율적으로 분담하는 계약을 체결해 리스크를 분담하고 보다 다양한 사업에 진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국제 개발 금융기구와 다른 국가의 금융기관과 네트워크도 확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은과 JBIC간 인력교류를 확대하고 협의채널을 확충해야 한다”며“전문가 양성을 상호 지원하고 개발협력기구(OECD) 수출신용협약 등 주요 수출신용 관련 이슈에 대해 긴밀하게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