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원장은 이날 국회 경제정책포럼 조찬 강연에서 '(부실 저축은행의) 윤곽이 하반기에 드러나느냐'는 한나라당 정희수 의원의 질문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발표되고 회계법인 진단이 나오면 당국 나름대로 윤곽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원장은 이어 강연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부실 저축은행을 가리기 위한 경영진단 실태 조사에 곧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경영진단 결과를 토대로 부실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자구노력을 강력히 유도하고, 그렇게 해도 해결이 안 되면 구조조정을 신속하고 강도높게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조만간 실시되는 경영진단 평가는 PF 사업장 평가와 대주주 적격성 등 저축은행 검사 기준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진행된다.
곧 발표될 가계부채 종합대책과 관련해 그는 "대출 증가율이 물가나 경제성장률보다 높으면 반드시 부실이 드러난다. 총량적으로 가계부채를 줄이도록 금융회사 창구지도를 하는 한편, 만기가 되면 거치기간을 연장하고 연장하는 구조를 원리금을 조금씩 갚아나가는 구조로 개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다만 "가계부채를 억제하는 과정에서 제도권을 통한 서민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새희망홀씨나 햇살론 등 서민금융이 활성화되도록 재원 조달을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원장은 한국은행에 단독조사권을 주는 한은법 개정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원들의 지적에는 "국회의 논의 결과를 따르겠다"면서도 "이 문제는 보다 큰 틀에서 생각해야지, 저축은행 사태를 계기로 감독기구의 문제를 다루는 것은 본질을 (벗어난 것)"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