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개 업종별 대출관행 수술대 올라

2011-06-19 15:0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 폭탄돌리기의 주범으로 지목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대출심사에 적극 반영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8개 은행, 2개 신용평가사로 구성된 여신관행 개선 태스크포스(TF)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기업금융 개선책을 강구하고 있다.

국민과 신한, 우리, 하나, 외환, 올협, 기업, 산업 등 TF에 참여한 8개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 4월 말 기준 474조 8000억 원이다.

4월부터 가동된 TF는 기업대출 부문 대출이 특정 호황업종에 집중됐다 불황이 시작되면 급격히 줄어드는 경기순응성을 완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제조업과 도소매업, 건설업, 음식 및 숙박업 등 학국표준산업분류에 규정된 21개 업종별 대출관행을 개선키로 했다.

또 PF 사업의 자금 조달원으로 쓰이는 ABCP를 비롯해 회사채와 일반 기업어음 등 시장성부채를 많이 발행한 기업에 대해서는 대출이 까다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부실 계열사 대상으로 한 일명 꼬리 자르기 논란으로 부각됐다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대기업 계열사에 대한 대출관행도 달라질 전망이다.

각급 은행은 대출 심사 점수를 매길 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대기업 계열이라는 점을 전면 배제하는데 합의했다.

크게 3개 부문으로 나뉜 대출관행 개선책은 내달 초 18개 국내 은행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하는 세미나에서 구체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