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석유화학 중소 가공업체는 가격이 오를 때뿐만 아니라 내릴 때도 손해를 본다. 전방과 후방산업 양방향에서 주로 대기업과 거래가 이뤄지는 가운데, 거래가격이 가공업체에 불리하게 결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석유화학 대기업들이 1분기까지 시황 강세로 호황을 누린 반면, 가공업체는 원가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었다. 최근 시황 약세로 이러한 원가부담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추세지만, 가공업체의 경영부담은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 대기업에서 원재료를 구매하는 가공업체는 가공제품도 대형유통업체나 자동차, 전자업체 등 주로 대기업에 판매한다. 이에 따라 원가가 오를 땐 제품가격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고, 내릴 땐 곧바로 내려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가공업체 관계자들은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원가가 내려도 중소 가공업체는 손해를 본다”며 “가공제품 판매의 70%가 대기업과의 납품거래를 통해 이뤄지는데, 그동안 오른 원가부담을 판매가격에 미처 반영하지 못한 채 곧바로 가격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정부는 이 같은 가격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자 가격 예시제나 동반성장 회의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가공업체들은 작년 말부터 시행된 1개월 단위의 가격 예시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석유화학기업이 월말에 가격을 통보해와 가공업체들이 미처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마저도 권고사항이라 제대로 안 지켜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공업체는 가격 예시제가 실질적인 효과를 보려면 3개월 정도로 기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석유화학업계가 3개월 단위의 고정가격을 적용하고, 손실이 발생할 경우 다음 3개월에 반영하는 식이다.
이와 관련 석유화학 기업들은 가격이 오를 땐 수요가 급격히 줄고, 가격이 내릴 땐 사재기가 발생하는 등 부작용을 우려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가공업체측은 “사재기를 할 여력도 없으며, 석유화학기업들이 공급제한을 할 것이 아니냐”며 이견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