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마을 주민으로 구성된 ‘포이동 266번지 사수 대책위원회’는 13일 마을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재난지역에 준하는 조치를 하고 대책을 위해 구청장이 주민과 면담에 나서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서울시와 강남구청에 주거환경 개선을 줄기차게 요구했지만 돌아오는 답은 없었다”며 “결국 주민의 요구를 무시한 시와 구청이 대형 화재를 낳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집은 잿더미가 됐지만 다시 보금자리를 마련할 터전까지 잃을 수는 없다”며 “서울시도 주거환경 개선 요구를 묵살한 책임을 지고 주거권 보장을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남구청은 이재민을 위해 인근 초등학교에 임시구호소를 설치하고 모포와 식수, 구급약품 등을 마련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마을을 비우면 구청이 철거반을 투입할지도 모른다”며 마을 공터에 천막을 치고 생활하고 있다.
반빈곤빈민연대 가재웅 상임대표는 “마을에 집을 다시 지어 정착해 살 수 있도록 재정지원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구청 관계자는 “재정착을 위한 재정지원 문제는 법률 검토 등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