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미국 클라우드 업체인 랙스페이스의 오픈소스 기반을 아시아 최초로 적용한 것이다.
데이터 3중화 보관을 통한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가격도 최소화했다.
지난 4월 출시한 ucloud CDN(Contents Delivery Network)과 연계가 가능하다.
이용요금은 저장량 및 전송량에 따른 과금 방식으로 저장량 요금은 기가바이트(GB)당 최저 80원으로 기존 웹스토리지 요금의 50분의 1 수준이다. 전송량 요금은 업로드 전송료가 무료여서 세계적인 클라우드 업체인 아마존보다 30% 이상 저렴하다.
또 표준 플랫폼을 공개해 국내 모바일 및 소프트웨어(SW)개발업체들도 이번에 공개한 플랫폼을 이용해 다양한 연계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KT이노츠가 1년간 독자 개발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ucloud DB) 서비스는 대용량 자료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오픈소스인 My-SQL 기반으로 개발한 것으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초기 투자 없이 필요한 만큼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특성으로 경제적인 데이터베이스 사용이 가능하다.
김충겸 KT 클라우드추진본부 상무는 “KT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이 다양한 클라우드 상품들 간의 서로 유기적인 연동과 유연한 확장이 가능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클라우드 시장을 리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