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들의 생각은 자신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를 수밖에 없는 만큼 실제 민심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근혜 vs. 손학규 구도, 정치상황 따라 바뀔 수"
신율 명지대 교수는 아주경제신문이 실시한 국회의원 대상 ‘18대 대선 전망’ 설문조사에서 여당 대선후보로 한나라당 박 전 대표가 꼽힌데 대해“‘바람이 불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지만 한나라당은 그럴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이른바 ‘박근혜 대세론’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명박 대통령마저 눈치를 볼 정도로 한나라당이 사실상 ‘박근혜 당’이 됐다”는 게 신 교수의 지적이다.
다만 신 교수는 “국민은 ‘기득권자’ 인상을 주는 사람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며 실제 대선과정에선 ‘박근혜 대세론’엔 “분명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도 “의석 분포상 한나라당 소속이거나 보수 성향 의원이 다수이기 때문에 1년 이상 여론지지율 1위를 유지해온 박 전 대표의 당선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게 당연하다”면서도 “아직 대선까지 18개월 정도 남아 있는 만큼 정확한 구도를 파악키 어렵다. 내년 추석 정도는 돼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현재 일반국민 대상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야권 후보를 뽑겠다는 의사가 더 많다”며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야권 대표주자로 확실히 자리매김한다면 구도가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신 교수는 “민주당 입장에서 볼 때 손 대표는 ‘다른 병원’에서 태어난 사람이다. 당에서도 거부감을 가진 의원이 많다”며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나 김두관 경남지사 등 다른 사람을 대선후보로 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 정부 지역 갈등 때문에 '국민화합' 덕목 1순위"
김민전 교수는 차기 대통령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으로 ‘국민화합 및 통합’이 제시된데 대해 “현 정부 집권 후반기 들어 과학벨트 등 각종 문제로 지역 간 이해 충돌이 많았기 때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김 교수는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정책 마련’과 ‘도덕성’이 차순위를 차지한 것과 관련해선 “경제는 ‘고정 변수’지만 도덕성이 높은 순위를 차지한 건 2007년 대선과는 다른 양상”이라며 “이 또한 현 정부에서 부패 의혹 등이 잇따라 제기돼 좀 더 도덕적인 지도자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강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율 교수는 “국회의원들의 답변은 당위론적인 접근으로 봐야 한다”며 응답의 신뢰도를 낮게 봤다.
"경제 문제는 늘 중요한 변수였고 이 대통령이 당선된 것도 경제 때문이지만 거듭된 물가상승 등 민생고로 지금은 국민이 이 대통령에게 ‘뒤통수’를 맞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게 신 교수의 설명.
그는 “그런 학습효과가 실제 대선국면에서 어떻게 나타날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차기 대통령 선택 기준으로 ‘인물’ 답변이 가장 많은데 대해 신 교수는 “사람들은 정치를 ‘시스템’으로 보지 않고 ‘인물’로 본다. 그게 바로 정치의 인격화다”며 “인물이란 기준엔 능력도 포함되지만 ‘얼마나 때가 덜 묻었는가’ 하는 점도 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에 대해 정대화 상지대 교수도 “인물을 보고 대통령을 뽑겠다는 답변이 많은 건 당연하다”며 “그러나 특정 정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과도해지면 인물보다 정당을 선택 기준으로 삼으려는 경향이 커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