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는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 여파가 계속되면서 일본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 발표했던 1.4%에서 -0.7%로 낮춰 잡았다고 밝혔다.
IMF는 그러나 내년 경제성장률은 애초 발표한 2.1%에서 2.9%로 상향조정했다. 일본 경제가 지진이 불러온 역풍에 여전히 직면해 있지만 공급압박이 완화하고 피해복구 지출에 속도가 붙으면 이번 여름 회복세가 시작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일본이 나라빚 부담을 줄이려면 현행 5%인 소비세(sales tax)를 앞으로 몇년에 걸쳐 3배로 올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막대한 재건비 지출을 고려할 때 일본 정부가 내년부터 당장 소비세를 7~8%로 올려야 하며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인상해 15%까지 끌어올려야 한다고 IMF는 조언했다.
한편 일본은행(BOJ)은 오는 13~14일 열리는 통화정책회의에서 경기판단을 상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9일 보도했다.
BOJ는 현재 공급망 복구 등으로 공급체제가 완화 기미를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산을 재가속화하기 시작한 산업계의 분위기를 경기판단에 반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BOJ가 경기판단을 상향 조정하는 것은 동일본 대지진 발생 이후 처음이다.
앞서 지난 1일 시라카와 마사아키 BOJ총재는 "공급망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면서 산업생산이 살아나고 있다"며 "일본 경제가 올 회계연도 하반기에 완만한 회복세에 들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내각부는 같은날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수정치(물가변동분 제외)가 전분기 대비 0.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속보치(0.9%감소)와 같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