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는 당장 6월 말 결산을 앞두고 대손충당금 부담을 덜며 하반기 2차 구조조정을 대비할 수 있게 됐다.
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사들인 저축은행 PF 부실채권 만기를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캠코는 지난 2008년 말부터 지난해 6월까지 89개 저축은행의 PF 부실채권 5조2000억원을 3년 만기로 매입했다.
현재 저축은행들은 캠코에 PF부실 채권을 넘길 때 발생하는 대손충당금을 3년간 11차례에 걸쳐 쌓고 있다. 하지만 이를 5년간 19차례에 걸쳐 쌓도록 하겠다는 게 금융위의 방침이다.
이에 업계는 6월말 결산을 앞두고 대손충당금 부담이 완화돼 안도하고 있다. PF 부실채권 만기를 5년으로 연장할 경우 저축은행들은 분기별 충당금 적립 부담을 약 42% 덜 수 있어서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들이 수익을 낼 수 있는 기반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당국의 이번 결정은 업계의 숨통을 트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특히 2차 구조조정을 앞두고 불안감이 컸던 만큼 충당금 부담이 줄어들어 다행이다"고 전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PF 부실 문제의 해결은 부동산 경기 회복이 우선돼야 한다는 점에서 만기 연장이 절실했다"며 "저축은행 부실문제를 연착륙 시키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축은행 업계는 금융당국이 이미 상장저축은행에 대해 국제회계기준 도입을 5년간 유예하면서 충당금 부담을 크게 덜었다.
하지만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금융당국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저축은행 PF사업장 468곳의 전수조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에 따라 부실채권의 등급 자체가 떨어져 대손충당금 부담이 더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PF 부실채권의 건전성 평가를 두고 저축은행과 금융당국 간 이견을 좁힐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정상으로 분류된 사업장도 금융당국의 조사 대상이어서 그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당국의 고강도 정밀조사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이로 인해 캠코 매각 분에 대한 또 다른 고민을 낳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