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고위관계자는 이날 “20명이 넘는 의원들이 수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며 “지금은 이들에게 어떤 비리가 있다고 확정하는 단계가 아니라 여러 의혹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단계”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3.8면>
이 관계자는 “(정권 말기의 권력형 게이트 성격이 짙어) 적어도 7월말까지는 가야 기본적인 수사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수사의 주요 부분이 정치권 인사에 집중돼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검찰은 정치권의 대검 중앙수사부 폐지 합의에 맞서 배수진을 치고 의원들의 비리를 낱낱이 파헤칠 태세다.
검찰은 우선 도피 중인 박태규(72), 이철수(52)씨 등 부산·삼화저축은행 로비스트들의 신병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대검 등은 이들이 현정권 고위층과 정관계 인사들에게 로비를 벌였다는 정황과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검찰은 이날 구속 기소한 윤여성(56)씨에게서 10년 전부터 로비창구역할을 하며 정·관계 고위층 인사들과 접촉한 정황을 포착하고 로비 대상자 파악에 나서는 등 수사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의혹이 제기된 국회의원은 물론 친인척 등의 저축은행 예금이나 인출 상황을 총체적으로 점검하는 등 저인망식 수사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기잡기식 수사로 현역의원을 압박하는 것이냐”는 불만이 정치권에서 나올 정도다.
한편 삼화저축은행에 투자한 피해자 22명은 이날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국가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이들은 소장에서 “은행 측이 후순위 채권 판매 팸플릿 상으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부풀리고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비중을 실제보다 절반 이상 축소하는 등 재무건전성을 속여 상품을 사기 판매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