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경기부양 위한 통화정책 유지해야"

2011-06-08 13:55
  • 글자크기 설정

3차 양적완화 등 추가 부양조치 언급 안해

(아주경제 이지은 기자)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 의장은 7일(현지시간) 고유가와 일본 대지진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미국 경제의 회복세가 일시적으로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하반기부터는 성장세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버냉키 의장은 그러나 실망스러울 정도로 더디고, 고르지 않은 경기회복세를 북돋우기 위해서는 경기부양적인 통화정책을 계속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버냉키 의장의 이러한 입장은 그동안 시행해온 경기부양책을 거둬들이고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이른바 '출구전략'의 시행이 당분간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애틀랜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버냉키 의장은 연준을 통해 사전 배포한 연설문을 통해 “고용상황이 정상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고 “지속적으로 고용창출이 활발하게 이뤄질 때까지는 진정한 의미에서 경기회복이 이뤄졌다고 간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현재의 경기회복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큰 이유로 주택시장의 침체를 지적하면서 “사실상 건설산업의 모든 부문이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진단했다.

버냉키는 “미국 경제가 여전히 잠재성장률을 밑돌고 있으며 따라서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계속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준이 경기부양을 위해 풀어놓은 과도한 유동성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는 지적과 관련해 버냉키는 “최근의 물가 급등이 우려스럽기는 하지만 이 역시 일시적 현상이며, 낮은 임금상승률과 안정된 기대 인플레이션율 등을 감안할 때 물가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버냉키 의장은 그러나 시장참가자들 사이에 연준이 3차 양적완화 조치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추가 경기부양 조치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한편 의회에서 공화당 주도로 재정지출의 대규모 삭감 움직임이 전개되고 있는데 대해 버냉키 의장은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 계획은 필요하지만 지출삭감을 서두를 경우 경기회복을 저해할 위험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