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현대차 노사 상견례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대기업 대부분이 6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에 들어간다. 지난달 유성기업 파업 사태 때 보여졌듯 올해는 해결 과제가 많다.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협상이 될 전망이다. 많은 사업장이 무파업으로 협상을 타결한 지난해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다.
쟁점사항도 많다. 이미 시행된‘타임오프(근로시간면제제한)’는 아직 노사 단체협상(단협)을 거치지 않았다. 유성기업 사태를 촉발시킨 ‘주간2교대’ 역시 노사 사이에서 접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오는 7월로 예정된 복수노조 허용 역시 노사관계의 ‘뇌관’이다.
현대차 노사는 오늘 울산공장 본관에서 현대차 김억조 사장과 이경훈 노조위원장 등 노사 교섭대표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단협 상견례를 갖는다. 현대차 노조는 조합원이 4만5000명에 달하는 전국 최대 단위 노조다. 그만큼 산업계에 미치는 파장도 크다. 지난 2009년 15년 만의 무파업 임단협 타결을 이끌어 낸 이 회사는 지난해까지 2년 연속 무파업으로 임단협을 마무리지었다. 하지만 3년 연속 무파업 타결에는 수많은 걸림돌이 있다.
지난 3일 출정식을 가진 노조는 ‘여름휴가 전 타결’을 목표로 내걸었다. 하지만 대의원회의가 유래없이 휴회될 정도로 노조 내부의 의견조율도 만만찮다. 지금도 노조 현장조직 이 ‘주간2교대’를 임협안에 넣지 않은 채 별도로 협의키로 한 집행부에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을 앞두고 일부 공개된 사측의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노조 측은 강하게 반발했다. 7월 시행되는 복수노조 허용에 앞서 현재의 현대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차지부)를 유일한 교섭대상으로 인정치 않는다는 조항을 넣었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 노조의 힘을 약화시킬 수 있는 만큼 “노조 자체를 부정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측은 또 타임오프와 관련해서도 ‘노조는 (노조업무) 전임자를 사측에 통보한다’는 내용을 아예 없애자고 요구했다. 이미 4월 시행된 제도인 만큼 논란이 아닌 기정사실화 하겠다는 취지다. 노조는 이와 관련 ‘타임오프 분쇄’를 기치로 내걸고 이미 파업을 위한 쟁의행위까지 발생해 둔 상태다.
현대차 임단협 결과는 곧 다른 사업장으로 연결된다. 일찌감치 임금협상을 마친 쌍용차와 노조 대신 사원대표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는 르노삼성을 제외한 기아차 임협와 한국지엠 임단협이 남아 있다.
비정규직 노조도 또 다른 뇌관이다. 현대차 사내하청 직원, 이른바 비정규직 노조는 현대차와의 직접 협상을 요구하며 지난해 11월과 올 2월 두차례에 걸쳐 파업을 실시한 바 있다. 지난달 유성기업 노조의 파업에서 불거진 부품 협력사의 노사관계도 주목받고 있다. 이 때 보여졌듯 핵심 부품사의 파업은 규모와 상관없이 자동차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현대차 협상 여부에 따라 부품사 역시 ‘주간2교대’가 화두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