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는 이날 마지막 회의를 열고 막판 의견조율을 거친 끝에 선거인단 규모를 21만명으로 늘리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당헌 당규는 현행을 그대로 유지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전대 룰과 관련해 합의된 부분은 합의된 대로, 합의가 안된 부분은 현행 룰을 따르도록 결정한다”면서 “미세한 부분은 당헌당규소위에서 논의키로 했다”고 밝혔다.
당권-대권 통합을 요구해 온 대선주자들에게는 상임고문 등의 역할을 부여하고 대선후보 등록시점도 대선 전 240일인 현행 규정에서 365일 전으로 앞당기는 방안이나 당 대표가 최고위원 2명을 직접 지명하는 등의 ‘절충안’은 당헌당규소위에 일임하기로 했다.
정 위원장은 이와 관련, “소위에서 의결하는 게 아니라 의견을 수렴하면 전체회의에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지금까지 8차례 회의에서 대권ㆍ당권 분리와 대표ㆍ최고위원 분리 선출 문제를 놓고 열띤 토론이 있었으나 끝까지 의견이 팽팽했다”면서도 “표결처리는 비대위의 실패, 나아가 한나라당의 실패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승적 차원에서 위원장에게 결정을 일임했다”고 말했다.
이는 전대룰 개정을 두고 계파간 갈등이 첨예했음을 시사하면서도 비대위의 결론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선거인단 규모를 21만명으로까지 늘린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면서 “특히 청년 선거인단의 1만명 증원은 당에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비대위의 전대 경선 규칙을 둘러싼 논의가 앞서 박근혜 전 대표가 말했던 대로 결론이 나면서 당권-대권 통합을 요구했던 친이(친이명박)계 등 ‘구주류’의 당내 반발이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