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국세청은 체납자의 체납처분 회피혐의 및 재산은닉 여부를 분석·관리할 수 있는‘ 은닉재산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해 체납자와 그 가족의 소비·지출내역 등을 심층 분석한 후 추적조사 대상자로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세청이 은닉재산 추적 조사 대상자로 선정한 이들은 대부분 외환위기 이후 기업이 부도처리된 대기업의 사주들이다.
이 중에는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과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 최원석 전 동아그룹 회장, 나승렬 전 거평그룹 회장, 장진호 전 진로그룹 회장,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등이 포함됐다.
특히, 국세청은 현재 증여세 2300억여원을 납부하지 않은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에 대해서는 서울 대치동에 소재한 은마아파트 단지 내 미등기 토지에 대한 소유권확인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세청은 또 종합소득세 1100억여원을 체납한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과 관련해서는 횃불선교재단과 온누리선교재단 사이에 오고 간 거액의 자금을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최 전 회장은 지난 1998년 이후 자신과 부인이 각각 이사장으로 있던 신동아학원과 기독교 선교횃불재단에 약 200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기부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은 바 있다.
이와 함께 국세청은 약 40억원대의 세금을 체납했음에도 불구하고, 호화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나승렬 전 거평그룹 회장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세청 한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국세청은 올해 초부터 나 전 회장이 명의변경 등을 통해 소유한 것으로 알려진 서울 구로동 소재 한 건물에 대한 실취득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또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에 대해서는 출국규제를 준비하고 있다. 다만 최원석 전 동아그룹 회장은 조만간 납부계획서를 제출하겠다는 뜻을 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국세청은 장진호 전 진로그룹 회장이 캄보디아 이중 국적명인 ‘찬삼락’으로 소유한 ABA은행 매각대금(약 300억원)의 흐름에 대해서는 ‘현미경 검증’에 나섰다.
국세청 관계자는 “이들 전 대기업 총수에 대한 조사는 거액의 세금 체납에도 불구하고 호화생활을 영위하고 있다는 판단과 함께 해외에 은닉한 재산을 찾아 국고로 환수, 공평과세를 실현하는데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름을 거명할 수는 없지만, 전 재벌 총수 중 또다른 수명은 해외에서 대규모 투자를 하는 과정에서 비자금을 조성한 의혹이 다분하다”며 “국세청은 이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엄정한 세법질서를 확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