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난징 도착, 다음 일정은?

2011-05-24 11:40
  • 글자크기 설정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4일로 방중 닷새째를 맞는 가운데 일단 이틀간 묵었던 장쑤(江蘇)성 양저우(揚州) 영빈관을 출발해 난징(南京)에 도착했다.

김 위원장 일행은 이날 오전 8시 32분(한국시간 오전 9시 32분)께 무장경찰차의 선도로 40여대의 차량 편으로 이동해 양저우 역으로 가지 않고 2시간 가까이 달려 난징 둥자오(東郊)빈관에 도착해 여장을 풀었다. 김 위원장이 여기서 숙박을 할 지는 불투명하다.

이날 새벽부터 양저우 역에서 대기중이던 특별열차도 이날 오전 9시 30분께 이동해 난징역으로 향했다.

그러나 난징에서 김 위원장이 어디로 향할지는 관측이 쉽지 않다.

현재로선 남행과 북행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지적이다.

현지 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의 특징은 과거 여섯차례 방중을 통해 둘러봤던 도시를 다시 찾으면서 미처 보지 못했던 곳을 찾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특별열차가 난징에서 어디로 가는 지를 봐야 차후 행선지를 점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지에서는 일단 난징↔베이징 구간이 시속 80㎞ 속도의 열차로 14시간 가량 걸리는 점을 감안할 때 이날 중에 베이징으로 직행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시각이다.

과거 방중으로 볼 때 김 위원장은 귀로에 대개 오후 3시를 전후 베이징에 도착해 후진타오(胡錦濤)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김 위원장이 난징을 거쳐 상하이(上海)로 향할 가능성도 있다. 양저우에서 상하이까지는 270㎞ 정도로 자동차로도 3시간 가량 소요된다.

김정일 위원장은 두번째 방중인 지난 2001년 1월 상하이 방문때 푸둥(浦東) 지구의 발전상을 보고 “천지개벽했다”며 감탄을 쏟아냈다. 아울러 그 다음해인 2002년 7월 1일 북한 나름의 개혁개방조치인 7.1조치와 금강산 특구 제정 등을 결단한 바 있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상하이를 재차 방문한다면 이와 유사한 조치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섞인’ 관측도 있다. 또 상하이로 간다면 내친 김에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ㆍ선전(深천<土+川>)ㆍ주하이(珠海) 행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이와함께 김정일 위원장이 난징에서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ㆍ우창(武昌)으로 가서 중화학 공업단지를 둘러볼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앞서 방중 나흘째인 23일 저녁 김정일 위원장은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과 함께 숙소인 영빈관에서 공연을 겸한 만찬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서 다이빙궈(戴秉國)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참석한 게 목격됐다. 따라서 다이 국무위원이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 성광주(盛光祖) 철도부장과 더불어 김정일 위원장의 이번 방중을 수행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만찬 공연에는 중국의 국가급 가무단인 동방가무단과 장쑤성 예술단, 그리고 북한예술단이 차례로 출연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