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는 22일 일본 도쿄(東京) 게이힌칸(迎賓館)에서 열린 제4차 한·일·중 정상회의 뒤 회견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정부 관계자는 “2008년 중국 쓰촨(四川)성 지진 뒤 한·일·중 3국은 안전 분야 협력을 강화키로 했지만 지난 3월 발생한 일본 대지진과 원전사고를 계기로 조기통보·지원체계의 취약점이 드러났다”며 “이에 따라 이번 회의에서도 원전사고를 포함한 재난관리 협력강화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설명했다.
3개국 정상은 공동선언문과 함께 △지진·쓰나미 등에 대비한 재난관리 협력과 △원자력안전 협력 △재생에너지·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한 지속성장 협력에 관한 3개 부속서를 채택했다.
특히 원자력안전과 관련해 3국은 비상시 조기통보체제 구축과 정보공유, 전문가협의 강화에 합의했다. 재난발생 시엔 신속한 피해복구 지원 및 재난관리 훈련 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또 3국은 FTA 추진과 관련해 산·관·학 공동연구를 연내 조기 완료하고, 투자협정도 조기 체결키로 했다. 올 하반기 서울에 설치될 3국 협력사무국 사무총장(2년 임기)엔 신봉길 외교통상부 국제협력대사를 내정했다
이와 함께 세 정상은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면서 “북핵 6자 회담 재개를 위해선 대화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이들은 “이 과정에서 남북대화가 우선돼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회견 뒤 일본 경제단체인 게이단렌(經團聯) 주최 ‘비즈니스 서밋’ 참가자들과 오찬을 함께 했다. 또 중국·일본 정상과도 잇따라 양자회담을 했다.
한·일 정상회담에선 조선왕실 의궤(도서) 반환 문제가 중점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본 내 야당의 반대로 반환협정이 참의원을 통과하지 못했지만, 중의원에선 이미 의결됐기 때문에 오는 28일부터 협정이 성립된다”고 말했다.
한·중 정상회담에선 FTA가 주요의제로 올랐다. 또 원 총리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에 관해 이 대통령에게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