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경제교사’로 알려져 있는 이한구 의원은 박 전 대표의 ‘한국형 복지’를 당장의 표를 얻기위함이 아닌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한 정책제시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사실상 박 전 대표의 싱크탱크라 할 수 있는 ‘국가미래연구원’ 소속의 유일한 현역 의원이기도 한 그는 경제부분을 비롯한 각종 정책 현안에 대해 박 전 대표와 의견을 나누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국가미래연구원을 두고 박 전 대표의 대선 준비를 위한 ‘싱크탱크’로 보는 해석에 대해 “참여를 원하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모여 정책현안에 대해 연구하는 모임 일 뿐”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으나 최근 출범 다섯 달 만에 회원 수가 세 배로 늘어날 만큼 성황을 이루고 있다.
그는 최근 정치현안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아끼지 않으며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특히 당선과 함께 당내 쇄신 바람의 중심으로 떠오른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주영 정책위의장이 주장하고 나선 ‘추가감세 철회’에 대해서도 “감세철회로 생기는 재원만으로 지금의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부정적 의견을 내기도 했다.
이 의원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국은행의 단독조사권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한은이 지금도 검사권이나 자료요구권도 확보한 상태”라며 “그런데도 한은개정안을 밀어붙이는 것은 은행감독원 시절 ‘조사권’을 권력을 다시 가져오고 싶었기 때문인데, 금융감독시스템 제고가 아닌 부처이기주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