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5/17/20110517000143_0.jpg)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사진)은 17일 “이익공유제에 대한 구체적이 플랜(계획)이 이번 주중으로 나올 것”이며 “이익공유제는 반시장적 정책이 아니라 오히려 건전한 시장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월례토론회에서 ”위원회 내 실무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이익공유제 또는 협력업체 이익공유 플랜에 대해 연구를 맡겼다“며 “구체적인 것은 이른 시일 내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TF는 현재 `판매수입공유제‘와 `목표초과이익공유제’ 등 이익공유제 달성을 위해 가능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들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 위원장은 동반성장 추진은 사회의 양극화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 전체 매출(해외 매출 포함)은 603조3천억원으로 우리나라 전체 국민총생산의 51%에 해당한다.
또 대기업 세전 순이익률은 2007년 7.9%에서 지난해 8.4%로 늘었지만, 중소기업은 3.8%에서 2.9%로 떨어졌다.
정 위원장은 “대기업은 갈수록 살찌는데 중소기업은 여위고 있다”며 “이 같은 양극화는 우리 사회의 통합과 체제 안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 위원장은 “그래도 최근 동반성장에 비판적이던 언론과 대기업이 빠른 속도로 동반성장에 동참하고 있다”며 “동반성장은 자원배분에서 가장 효율적이라는 시장제도를 더욱 튼튼하고 내실있게 만들기 위한 처방”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