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5/15/20110515000056_0.jpg)
서울시가 오는 21일 부부의 날을 앞두고 2010 서울서베이와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해 1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서 이혼한 부부 중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한 부부는 1990년 6.6%로 가장 낮았으나, 2010년 27.3%로 늘어났다.
반면, 1990년 38.3%로 비중이 가장 높았던 결혼 후 4년내 이혼은 지난해 25.0%로 줄어, 황혼이혼이 지난해 처음으로 신혼이혼을 앞질렀다.
또 50세 이상 연령에서 이혼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이혼 중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남편기준으로는 1990년 8.5%에서 지난해 32.7%로 4배, 아내기준으로는 같은기간 3.7%에서 22.8%로 6배 증가했다.
또 남성의 경우 총 이혼 중 45세이상 연령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해 이혼한 부부들은 성격차이(44.5%)를 들어 가장 많이 이혼했다. 뒤이어 경제문제(12.3%), 배우자 부정(7.8%), 가족간 불화(6.6%), 정신적 및 육체적 학대(4.5%), 건강 문제(0.6%)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이혼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은 남성(58.7%)이 여성(51.9%)보다 높았으나 ‘경우에 따라 할 수도 있다’는 의견은 여성(38.5%)이 남성(33.2%)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서울 남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1990년 28.3세에서 2010년 32.2세로 20년 동안 3.9세 높아졌으며, 여성은 25.5세에서 29.8세로 4.3세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