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홍준 교수가 11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제6권 '인생도처 유상수'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
(아주경제 김나현 기자)“제 감상을 넣은 에세이들이 많이 들어갔어요. ‘사람 이야기’가 많은데 결국 문화유산은 사람이 만든 일이고 사람이 이어가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이야기를 끌어내고‘스토리 텔링’을 풍부하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993년 제 1권 ‘남도답사 일번지’로 시작된 유교수의 ‘나의문화유산답사기’는 출간과 동시에 화제가 되면서 전국적인 답사열풍을 몰고 오기도 했다.
제1권이 120만부 판매를 기록한 것을 비롯 국내 편 세 편과 북한 편 두 권까지 모두 260만부 가량 판매됐다.
이번 제 6권을 출간함과 동시에 기존의 제1~5권을 개정판으로 새단장해 출간했다.
수록사진들도 전면 컬러로 교체하고 변화된 환경에 맞도록 정보를 추가하는 등 전면적인 개정작업을 거쳤다. 하지만 유교수는 “글쓴 시점의 역사성도 있기 때문에 전체의 줄거리는 수정하지 않고 대신 수정을 한 곳에는 글쓴 시점과 수정한 시점의 두 개 날짜를 같이 병기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출간된 신간의 부제는 ‘인생도처유상수’다. 옛 시인의 시구 ‘인간도처유청산’에서 원용한 이 문구는 세상 곳곳에 존재하는 이름 없는 고수들에 대한 경이로움을 표현한 것이다.
“답사기를 꼭 더 써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충청북도와 제주도분들이 왜 우리동네만 빠졌냐는 항의가 무척 많아서입니다. 그래서 최소한 두권은 더 써야지 지역적 안배가 고르게 될 거 같아서 쓰게 됐습니다.”
유교수는 6권을 출간하게 된 동기에 대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문화재청장을 맡게 되면서 어려웠던 점에 대해서도 털어놨다.
“문화재 관리 실태를 비판할 때 예전에는 ‘도대체 문화재청은 뭐하고 있는 거냐’라고만 쓰면 됐는데 지금은 개선책까지 말하지 않을 수 없게 됐어요. 청장 시절 내가 이렇게 했다거나 혹은 어떻게 하려고 했는데 안됐다는 식의 이야기를 많이 썼습니다.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나의 공무원답사기’를 쓰겠다고 했는데 이번 책이 그런 책이 된 셈이죠.“
이번 책에는 경복궁 근정전 앞뜰의 박석이 지닌 가치를 발견해낸 경복궁 관리소장, 일반인들은 절대로 알지 못하는 봄나물을 줄줄 꿰고 있는 무량사 사하촌 할머니들, 광주비엔날레 대상수상작의 의미를 천연덕스럽게 해석해내는 촌로 등 답사의 현장에서 만난 고수들과의 에피소드들이 많다.
유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제주편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으로 이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