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특허청에 따르면, 박막 태양전지 기술 관련 국내 특허 출원은 2005년 이후 모두 416건에 이르며, 해가 거듭할수록 큰 폭으로 늘고 있다. 2005년 12건(2.9%), 2006년 17건(4%), 2007년 35(8.4%)건에 불과하던 것이 2008년 93건(22%), 2009년 137건(33%), 2010년 122건(29%)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
주요 출원인으로는 주성엔지니링 70건(17%), 엘지디스플레이 43건(10%), 엘지전자 36건(9%), 효성 17건(4%) 등으로 나타났다. 내국인의 박막 태양전지 관련 연구개발이 활발하다는 증거다.
특히 CIGS (Copper-Indium-Gallium-Selenium) 기술 등을 활용한 ‘고효율’을 박막 전지 특허출원이 2006년 4건, 2007년 6건, 2008년 13건, 2009년 26건, 2010년 26건으로 최근 5년간 지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막 태양전지의 종류는 태양전지 패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CdTe 물질을 사용하거나, 비정질 실리콘 또는 CIGS (Copper -Indium-Gallium -Selenium)를 사용한 기술 등이 있다.
현재는 대면적 CIGS 박막 태양전지가 낮은 단가와 고효율로 빠른 기술 발전을 보이며 박막 태양전지의 대표 주자로 주목 받고 있다.
CIGS 박막 태양전지 관련 특허출원은 최근 5년간 75건으로 박막 태양전지 전체 출원 중 18%를 차지해 다소 저조한 실정이다. 하지만 매년 출원이 증가하고 있어 전망은 매우 밝다고 특허청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