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사태 장기화… 시름 깊어지는 건설사

2011-05-10 15:00
  • 글자크기 설정

공사재개 시점 불투명에 자금난 커져… 정부, 실질적인 지원 대책 못내놔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리비아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건설사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10일 국토해양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리비아에서 사업을 진행중인 국내 업체는 20곳(하청업체 포함 72개사)이며 이들 기업의 공사 미수금은 3300억원 가량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현장에 두고 나온 자재 분실과 현장 훼손 등을 포함하면 전체 피해 규모는 1조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 건설업체가 리비아에서 진행 중인 사업의 총 규모액 105억달러(11조4000억원) 중 이미 10% 가량을 손해 본 셈이다.

문제는 피해규모가 시간이 흐를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빠른 시일 내에 공사를 재개해 피해를 줄이려던 건설사들의 당초 계획이 내전 양상이 지속되면서 올해 안에 공사 재개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모든 인력을 철수시킨 상황에서 현장에 두고 나온 자재의 분실과 현장 훼손에 대한 우려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공사가 뒤늦게 재개될수록 미수금 정산과 파괴된 현장 수습에 쓰일 추가 비용에 대한 고민도 늘어간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리비아에서 대금을 못받으면서 자금줄이 막히자 업체들이 자금난에 시달려 만기 채권을 갚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하소연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일차적인 임시방편책 이외에는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지난달 4일 리비아 진출 건설업체의 일시적 자금경색을 막기 위해 이들 업체에 대한 대출금 회수를 중단하고 공사 이행보증을 연장해줄 것을 당부하는 내용의 협조 공문을 금융기관에 발송한 바 있다. 이외에도 정부는 △대출만기 연장 △신규여신 확대 △보증확대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히기는 했지만 후속적인 방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신용보증기금을 활용한 특별보증제도로 리비아 진출 기업들의 신용을 보강해주는 방안도 검토 차원에서만 머물고 있어 시행이 불투명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내놓은 대책에 대해 금융권에서의 회의적으로 바라보면서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 등으로 건설업계에 대한 대출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유동성 위기를 겪는 리비아 진출 건설업체 당 몇 백억원씩이 들어갈 추가 대출 지원을 하기가 쉽겠냐"며 "아무래도 국내 PF 문제가 선결돼야 리비아 진출 건설업체에 대한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