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를 포함해 8개 부처 이상이 공동으로 TF를 조직해 가동 중이다.
가칭 ‘100세 시대 프로젝트‘로 명명된 이 사업은 지난 3월 가동해 현재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부처는 복지부와 재정부·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금융위원회 등으로 파악된다.
이 같은 작업은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가 국가차원에서 다뤄야할 만큼 심각하기 때문이다.
통계개발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현재 1명의 노인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5명의 노동인구가 필요하다.
급속한 고령화로 2050년께는 노동인구 1명이 1명의 노인을 책임져야 하는 사태가 벌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복지부 양성일 대변인은 “고령화에 대해 범부처 차원에서 공동 대응하려 한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며 “총리실에서 주관하고 각 부처가 직무별로 분담하는 형태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은 공식적이지 않은 내부 협력체일 뿐”이라며 “정부차원의 프로젝트인 만큼 현 정권 내에 어떤 형태로든 성과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명박 대통령은 신년연설을 통해 “이제 인생 100세를 기준으로 사는 시대로 접어들었다”며 “모든 국가정책의 틀도 이에 맞춰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