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국유자산관리위원회는 '보장성주택건설 유관기업에 대한 통지'를 통해 "보장성 주택 건설의 주체는 지방정부이지만, 관련 중앙기업은 즉시 지방정부의 보장성의 주택 분야에서 계획, 진도율, 세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지방정부와의 소통을 강화해 여러가지 경로를 통해 보장성주택건설을 참여해야 한다"고 적시했다.
중앙기업이란 국유기업중 지방정부가 아닌 국무원이 관리감독하는 업체들을 말한다. 국유자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통지에 나온 '관련 중앙기업'은 16개의 부동산 사업을 위주로 한 중앙기업을 말한다"고 소개했다.
보장성주택이란 서민을 위해 저렴하게 임대하거나 판매하는 주택을 말한다. 올해 중국정부는 보장성주택을 1000만채를 짓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보장성주택은 이익률이 낮기 때문에 건설업체들이 뛰어들려 하지 않고 있다. 증권사 데이터에 따르면 보장성주택 순이익율은 대략 4%-6%다. 또한 토지를 염가로 분양해야 하기 때문에 지방정부들의 재정 차원에서도 진척이 더딘 상황이다.
이에 국유자산관리위원회가 자신들이 관리감독하는 16곳의 국유 부동산기업들에게 보장성주택건설 참여를 독려하고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국토부 장관인 세쉬런(謝旭仁)은 "지난해 계획했던 580만호의 보장성주택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며 기업들의 참여를 재촉했다.
현재 16곳의 중앙기업 중 중야커공(中冶科工), 바오리(保利) 등은 이미 보장성주택 건설에 참여한 상태다. 게다가 중앙기업의 보장성주택 판매면적은 전국 보장성주택 판매면적의 13%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중야커공 관계자는 "보장성주택 건설에 참여하는 것은 시장기능에 결코 역행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주택단지 설계, 탐사, 건설 등 여러가지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원가를 통제한다면 보장성건설에서 상당한 이윤을 거둘 수 있으며 동시에 중앙기업의 사회적 책임에도 충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오리 부동산의 쑹광쥐(宋廣菊) 이사장은 "회사는 주주 이익을 해치지 않는 전제 하에 보장성주택 건설에 참여해야 한다"며 "바오리는 5곳에서 보장성주택을 건설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지난 2일 원자바오(溫家寶) 국무원 총리는 류치(劉淇) 베이징 당서기와 함께 베이징 최대 보장성 주택 건설 현장인 차오양(朝陽)구 왕쓰잉(王四營) 공사현장을 방문해 건설현장을 독려했다. 특히 원 총리는 "보장성 주택을 건설하는 데 있어서는 품질도 매우 중요하다며 보장성 주택 건설을 통해 집값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맞추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