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5/04/20110504000135_0.jpg)
권 사장은 부연설명을 통해 발언의 배경도 설명했다. 그는 “현재 엘피다의 주력 제품은 50나노급인데 반해 삼성전자는 30나노급, 40나노급이 주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09년 엘피다가 40나노급 개발, 양산했단고 발표했지만 시장에서는 찾기 어렵다. 또 30나노급도 지난해 출하했다고 했는데 (시장에서) 찾기가 어렵다”고 덧붙여 엘피다의 25나노급 D램 개발 및 양산 발표에 대한 의구심을 굳이 숨기지 않았다.
이에 따라 권 사장은 “그럼, 연구소 단계의 개발이 아니겠냐”고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이와 관련, 삼성 관계자는 “연구소 단계로 보면 삼성전자는 이미 20나노급 D램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하반기에 20나노급 D램 양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 20년간 삼성이 (미세공정의) D램 개발과 양산에 있어서 세계 최초였던 것이 패턴이었다”면서 “과거에는 개발하고 양산에 걸리는 시간이 좀 있었다면 2007년 이후에는 (삼성은) 양산을 바로 앞두고 개발 발표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이번에 엘피다가 먼저 7월 양산 계획을 밝힌 것. 삼성이 항상 1등이었던 지난 20년간의 패턴에 변화가 올 것이냐는 점도 7월 일피다 양산 계획을 지켜보는 관전 포인트이다..
한편 이날 최지성 부회장은 “경쟁사보다 앞서야 한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최 부회장은 “경쟁사보다 1년은 앞서야 지속적으로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면서 “어떤 경우도 자만해서는 안 된다”고 말해 긴장을 늦추지 말 것을 주문했다.
반도체뿐만 아니라 등 글로벌 선두에 있는 삼성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한 순간도 멈추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강조하는 ‘위기론’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