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광합성으로 에너지원 수소 얻는다

2011-05-02 19:10
  • 글자크기 설정
이종협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국내 연구진이 녹색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이용해 청정에너지원인 수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종협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가시광선에 반응하는 두 가지 종류의 광촉매를 하나의 나노 입자로 묶고, 여기에 가시광선을 쪼여 물(H₂O)로부터 수소(H)를 분해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지금까지 인공광합성 연구에는 빛의 세기가 큰 자외선을 사용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수준이 낮은 가시광선만으로 충분한 광합성 반응을 일으켜 수소를 얻어 기존 연구보다 수소 양이 5배나 많다.

인공광합성에 자외선이 아닌 가시광선을 사용했다는 점과 ‘탄소첨가 이산화티타늄’이라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반응 효율을 크게 높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4~5%의 티타늄 자리에 탄소를 끼워넣은 ‘탄소첨가 이산화티타늄’과 황화카드뮴(CdS)을 마치 농구공 위에 삶은 계란 반쪽을 얹은 것과 같은 형태로 결합,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기술을 응용하면 별도의 수소 연료를 차에 싣지 않고도 햇빛과 물만으로 자체적으로 수소를 생산,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태양에너지 자동차 등을 만들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논문은 나노물질 분야에서 권위 있는 학술지인 ‘ACS NANO’ 4월호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