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는 박보연 시스템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MIT대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그래뉼린(Granulin)’이라는 새로운 면역조절 단백질을 찾아냈다고 15일 밝혔다.
이 물질은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을 여러 면역세포들에게 알려 감염 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면역 반응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 연구팀은 그래뉼린 유전자에 문제가 있는 쥐의 면역세포에 정상 그래뉼린 단백질을 주입하자 다시 면역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면역기능이 지나치게 저하되거나 반대로 과도하게 활발해서 생기는 암, 자가면역 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등에 대한 면역조절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 성과를 실은 논문은 생명과학 및 면역학 분야 권위지인 ‘이뮤니티(Immunity)’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