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매우 극미량으로 연간 방사선량 한도의 20만~3만분의 1에 불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는 게 정부측 설명이다.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장은 29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28일 12개 지방측정소에서 대기부유진 중 방사성 요오드(131I)의 경우 최소 0.049mBq(베크렐)/㎥에서 최대 0.356 mBq/㎥의 범위로 검출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2면>
이 수치는 환경방사능 감시 강화 후의 첫 시료인 지방측정소 대기부유진에 대한 방사능 측정을 지난 28일 10시부터 29일 10시까지 시행한 결과다.
또한 춘천측정소의 대기부유진에서는 세슘 137(137Cs)과 세슘 134(134Cs)가 각각 0.018 mBq/㎥, 0.015 mBq/㎥가 검출됐다.
이 둘을 합해 피폭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1.21x10-5mSv로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 1mSv의 약 8만분의 1 수준이다.
방사성 제논의 경우 지난 26일 채취한 시료에서 최대치(0.878Bq/㎥)를 나타낸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0.464Bq/㎥, 0.395Bq/㎥를 나타내고 있다.
정부는 우리나라 곳곳에서도 제논·요오드·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매우 적은 양이나마 속속 확인되고 있으나 일단 지금까지 검출된 양이 극미한 수준으로, 사람이 쪼이는 방사선량도 자연상태의 피폭량 수준보다 크게 낮아 임산부나 어린이들조차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윤 원장은 "요오드나 세슘을 만약에 흡입하거나 삼켰다고 해도 대부분은 배출되고, 배출되지 않고 남더라도 방사성 물질의 양이 적으면 방출하는 방사선량도 미미해 X-레이 사진 한번 찍는 것보다 훨씬 피폭량이 적으므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방사선 요오드나 세슘은 자연환경에서 원래 검출되지 않는 인공 방사성 물질이기 때문에 앞으로 주시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KINS는 지난 28일 강원도 방사능 측정소에서 방사성 제논 검출에 대한 후속조치로 환경방사능 감시 강화 차원에서 대기부유진에 대한 방사능 분석 주기를 더욱 앞당겨 매일 수행하고 있다.
![]() |
대기부유진방사능분석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