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2개 방사선측정소 방사성 세슘 검출

2011-03-29 16:08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여파로 우리나라 12개 지방측정소에서 극미량의 요오드와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확인됐다.

그러나 매우 극미량으로 연간 방사선량 한도의 20만~3만분의 1에 불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는 게 정부측 설명이다.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장은 29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28일 12개 지방측정소에서 대기부유진 중 방사성 요오드(131I)의 경우 최소 0.049mBq(베크렐)/㎥에서 최대 0.356 mBq/㎥의 범위로 검출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2면>

이 수치는 환경방사능 감시 강화 후의 첫 시료인 지방측정소 대기부유진에 대한 방사능 측정을 지난 28일 10시부터 29일 10시까지 시행한 결과다.

윤 원장은 피폭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4.72x10-6mSv(밀리시버트)에서 3.43x10-5mSv 범위로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 1mSv의 약 20만분의 1에서 약 3만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춘천측정소의 대기부유진에서는 세슘 137(137Cs)과 세슘 134(134Cs)가 각각 0.018 mBq/㎥, 0.015 mBq/㎥가 검출됐다.

이 둘을 합해 피폭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1.21x10-5mSv로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 1mSv의 약 8만분의 1 수준이다.

방사성 제논의 경우 지난 26일 채취한 시료에서 최대치(0.878Bq/㎥)를 나타낸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0.464Bq/㎥, 0.395Bq/㎥를 나타내고 있다.

정부는 우리나라 곳곳에서도 제논·요오드·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매우 적은 양이나마 속속 확인되고 있으나 일단 지금까지 검출된 양이 극미한 수준으로, 사람이 쪼이는 방사선량도 자연상태의 피폭량 수준보다 크게 낮아 임산부나 어린이들조차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윤 원장은 "요오드나 세슘을 만약에 흡입하거나 삼켰다고 해도 대부분은 배출되고, 배출되지 않고 남더라도 방사성 물질의 양이 적으면 방출하는 방사선량도 미미해 X-레이 사진 한번 찍는 것보다 훨씬 피폭량이 적으므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방사선 요오드나 세슘은 자연환경에서 원래 검출되지 않는 인공 방사성 물질이기 때문에 앞으로 주시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KINS는 지난 28일 강원도 방사능 측정소에서 방사성 제논 검출에 대한 후속조치로 환경방사능 감시 강화 차원에서 대기부유진에 대한 방사능 분석 주기를 더욱 앞당겨 매일 수행하고 있다.

대기부유진방사능분석결과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