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0일 시청앞에 합정전략정비구역 지역주민 100여명이 모여 합정전략정비구역개발 원안 추진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
(아주경제 김지나 기자)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서울시의 전략정비구역 개발도 주민 반대에 막혀 난항을 겪고 있다. 과도한 기부채납 비율과 개발면적 축소 등의 이유로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전략정비구역은 '병풍 아파트'로 둘러쌓인 한강변을 공원과 문화가 흐르는 공간으로 조성, 시민들에게 되돌려주겠다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에 따라 지난 2009년 1월 성수·압구정·여의도·이촌·합정 등 5개 구역을 대상으로 지정됐다.
2년 전 발표 때 약 50만㎡인 개발 대상 부지가 지난달 발표된 지구단위계획에서는 합정·상수역세권 2곳 30만㎡로 축소되고, 나머지 20만㎡는 제외됐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평균 30층, 최고 50층까지 짓는 청사진을 제시했다가 이를 뒤집었다"며 서울시의 주민설명회 거부와 함께 시청앞에서 집회를 갖는 등 원안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합정전략정비구역 원안추진위원회 유대석 위원장은 "사유재산권 침해에도 불구하고 2년 간 기다려 왔는데 한 순간 물거품이 됐다”며 “축소개발이 아닌 원안대로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의도 전략정비구역은 공공기여율(기부채납률 30%+공공시설 설치비용 10%)을 놓고 서울시와 주민간 대립이 평행선을 긋고 있다.
서울시의 40% 계획안에 대해 주민들은 일방적인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며 27% 이하로 하향 조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 서울시가 특혜 시비를 무릅쓰고 제3종 주거지역을 상업지역으로 변경하고 용적률 상향(아파트 618%, 상업시설 813%)이란 인센티브를 계획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일반분양 물량이 971가구에 불과해 사업성을 맞추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압구정 전략정비구역 역시 기부채납이 문제가 되고 있다. 서울시는 기부채납 23%를 포함해 공공기여율 25%에 용적률 330%로 하는 개발계획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다른 구역에 비해 용적률이 낮다며 공공기여율을 하향 조정하지 않는한 개발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여의도의 경우 주상복합에 적용되는 상한용적률이 618%로 공공기여율 40%를 감안해도 용적률이 370%에 이른다는 것이 압구정 주민들의 주장이다.
상대적으로 사업속도가 빠른 성수전략정비구역도 기부채납비율 30.6%를 놓고 주민들의 불만이 다시 고조되면서 재개발추진위원회와 비상대책위원간 갈등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기부채납비율 30.65%에 따라 늘어나는 추가분담금을 맞추려면 현재 278.85% 수준인 기준용적률을 40~50% 정도 높여줘야 한다는 것이 비대위측의 주장이다.
성수전략정비구역 한 추진위 관계자는 "추가분담금 문제를 놓고 2지구 추진위와 비대위가 서로 맞붙고 있는 상황"이라며 "1지구 역시 공공관리자제 도입 후 시와 구청간 입장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고, 이에 따른 주민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조합설립 작업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