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령, 여성은 40대 vs 남성은 60대

2011-03-22 09:2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성별의 제한 없이 열린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지만, 정작 남녀 직장인들은 여성의 적정 퇴직연령을 남성보다 더 낮게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가 최근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 직장인 1048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적정 퇴직 연령’에 관해 설문을 실시한 결과 남녀 모두 ‘연령에 상관없이 능력이 될 때까지(여성 직장인 적정 퇴직연령-37.5%, 남성 직장인 적정 퇴직연령-45.3%)’를 가장 많이 꼽았다.

하지만 차순위 부터는 남녀 성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우선 ‘여성 직장인의 적정 퇴직연령’에 관한 조사에서는 남성 직장인들은 여성 직장인의 적정 퇴직연령으로 ‘40대 초반~40대 후반(25.8%)’을 차순위로 선택했으며, 여성 직장인들은 이보다 늦은 ‘50대 초반~50대 후반(22.5%)’을 차순위로 뽑았다.

또 ‘남성 직장인의 적정 퇴직연령’에 관한 조사에서는 남성 직장인은 남성들의 적정 퇴직연령을 ‘50대 초반~50대 후반(27.4%)’을 차순위로 선택했고, 여성 직장인들은 ‘60대 초반~60대 후반(23.0%)’을 차순위로 뽑았다.

그렇다면 남녀 직장인들은 언제까지 직장생활을 하고 싶어 할까?

설문 참가자들에게 몇 세까지 직장생활을 하고 싶은지 질문한 결과, 모두 ‘56~60세’를 꼽은 응답자가 22.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남성 직장인들은 ‘61~65세(18.9%)’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고, 여성 직장인들은 ‘41~45세(15.9%)’까지만 회사 생활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잡코리아 HR사업본부 김정철 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채용 및 승진에 남녀 성별의 제한을 두지 않고 능력에 따라 공평하게 기회를 주려는 문화가 점차 정착되고 있다”며 “직장인들도 스스로의 성별 또는 연령에 국한되기 보다는 직무능력과 개인역량 강화에 힘쓰는 것이 장기적인 직장생활을 위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