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김 지사의 역점사업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사업 광고와 관련, 검찰이 경기도 산하 경기도시공사 사장 등을 기소한 데 이어 역시 도 산하인 경기신용보증재단에 칼날을 겨눠 대선 주자인 김 지사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수원지검과 서울 동부지검은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의 수사의뢰 및 고발에 따라 경기신용보증재단 임직원과 서울 모 버스회사 노동조합을 대상으로 각각 수사중이다.
수사의뢰서는 경기신용보증재단의 경우 간부급 3명이 주도해 직급별로 직원 280여명이 10만~100만원씩 6000여만원을 김 지사 후원회 계좌에 입금하도록 강요한 혐의가 있다는 내용이다.
또 서울 버스회사 노조위원장은 조합원들에게 10만원씩 1억500만원을 모금, 후원회에 기부한 것으로 경기선관위 조사에서 확인돼 고발조치됐다.
이와 관련 경기신용보증재단 박해진 이사장이 지난해 12월 4차례 연임에 성공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고, 버스회사의 경우 경기지역 노선운행의 편의를 제공받기 위해 후원금을 제공했다는 소문이 일고 있다.
박 이사장은 이에 대해 “강제 할당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부인했다.
버스회사 노조위원장은 경기선관위 조사에서 “김 지사에게 금전적으로 도움을 주고 싶어서였다”고 이유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신용보증재단 간부들은 지난해 12월 17일, 버스회사 노조위원장은 지난해 10월 10일 각각 수사의뢰 및 고발됐는데 수개월이 지나 뒤늦게 이 사실이 드러난 것도 의문이다.
경기도청 주변에서는 “정치권의 청목회 사건과 묶어서 ‘김문수 죽이기’를 위한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며 “김 지사는 전혀 모르는 사안인데 언론보도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게 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경기도 김용삼 대변인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김문수 후원회는 선거후 남은 후원금을 정당에 반환하도록 한 정치자금법에 따라 2010년 19억1000만원, 2006년 18억원을 반납했다”며 “모금액이 모자라지 않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불법 후원금을 받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란을 의식한 듯 서울 동부지검 관계자는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했다기 보다는 사실관계를 확인중인 단계다. 수사 대상이 김문수 지사가 아니라 버스회사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6·2 지방선거을 앞두고 직원 5~6명 명의로 2500만원을 쪼개 김 지사 후원회에 후원금을 낸 모 전자회사 대표의 경우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김 지사는 사건과 관련해 조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기신용보증기금과 버스회사에 대한 검찰수사에서도 김 지사는 타깃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300만원 초과 후원금 현황’에 따르면 6·2 지방선거 당시 김 지사는 고액후원금을 통해 4억6880만원을 모금했다. 이는 고액후원금을 모금했던 36명의 시·도지사 후보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