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기대 개발 2차전지기술, 54억원에 세진그룹 이전

2011-03-06 11:3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정부 지원으로 추진된 차세대 전지 연구의 성과가 실제 제품에 적용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울산과학기술대(UNIST) 차세대전지기술 융합연구단의 조재필ㆍ박수진ㆍ송형곤 교수팀이 개발한 ‘고안정성 양극활물질 및 고용량ㆍ저가 음극활물질 대량합성 기술’이 협약을 통해 울산 소재 세진그룹에 이전된다고 6일 밝혔다.

세진그룹이 지불한 대가는 기술료ㆍ발전기금 등 총 54억원으로 국내 대학의 기술 이전 가치로는 최대 규모다.

이전의 핵심은 고온에서 수명 단축 없이 안정한 2차전지 양극 소재를 저가로 대량 합성하는 기술과 기존 음극 소재인 흑연과 특성은 같으나 용량이 3배나 많은 실리콘 물질을 합성하는 기술이다.

특히 고용량 실리콘 물질의 경우 현재 일본에서 생산되나 값이 흑연의 15배인 ㎏당 150달러에 이르고 합성 과정도 어려워 그동안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왔지만 국내 연구팀의 합성 기술을 사용하면 가격을 ㎏당 20달러 이하로 낮출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