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위기 경보단계는 심각성에 따라 ‘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된다.
정부는 디도스 공격용 악성코드 출현, 웹 변조 이상 트래픽 증가 등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 실시하는 한편 유관기관, 인터넷서비스공급업체(ISP), 백신업체 등과 긴밀한 공동대응체제를 구축해 유사시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정부는 청와대, 국회 등 주요기관 웹사이트 및 금융기관, 포털 등 민간 주요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악성코드 유포 여부와 디도스 공격 등 사이트 접속장애 여부를 집중 모니터링하고 침해사고 발생시 해당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자신의 PC가 좀비PC가 될 경우 자동 PC파괴 프로그램이 작동하므로 반드시 안철수 연구소 전용백신 등을 다운받아 PC를 점검 치료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향후 기술적인 지원 또는 도움이 필요한 인터넷 이용자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운용하는 보호나라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KISA e콜센터(국번없이 118)에 전화해 전문 상담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