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에 본사 오픈, 유럽본사와 '쌍두마차' 체제로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1/25/20110125000230_0.jpg)
중국 디이차이징르바오(第一財經日報·제일재경일보)는 볼보차가 25일 상하이 본사 설립을 시작으로 중국 기술센터 설립, 중국 사업계획 발표 등을 통해 중국 현지화 사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고 있다고 24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한 소식통을 인용해 25일 공식 오픈하는 볼보차 (중국) 유한공사는 실질적인 볼보차 중국 사업본부로 중국 내 모든 업무를 담당하게 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제품 개발·제조·품질검사·투자·재무·인사·홍보에서부터 판매·마케팅·고객서비스 등 중국 내 모든 업무를 총괄 담당함으로써 볼보차 (중국) 유한공사는 사실상 볼보차 스웨덴 본사에 이어 ‘제 2위 본사’나 다름없다는 게 이 소식통의 설명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볼보차 경영이 스웨덴·중국 본사 두 곳의 ‘쌍두 마차’ 식으로 운영돼 중국 본사가 스웨덴 본사와 수평적 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욱 중요한 점은 이번 상하이 본사 설립은 볼보차의 원대한 중국 사업계획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것.
볼보차는 이를 출발점으로 오는 설 연휴가 끝나는 2월 중국 기술센터를 설립하고 3월 전후에는 중국 사업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공식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신문은 볼보차 중국기술센터는 스웨덴 연구개발(R&D) 기관과 협력해 중국과 전 세계 시장을 겨냥한 자동차 제작·디자인·성능개발 등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소식통은 “핵심업무는 중국 현지화에 주력하는 것”이라며 “중국 소비자 기호에 알맞은 제품을 생산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최근 들어 전 세계 다국적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최근 2년 간 중국은 이미 전 세계에서 고급차 수요가 가장 빨리 늘어나고 있는 시장으로 발돋움했다. 이에 따라 아우디·벤츠·BMW 등과 같은 업체들 역시 중국 본토화 전략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신광(賈新光) 애널리스트는 “볼보차가 ‘제2의 도약’을 이룰 수 있는지는 중국 시장 성공 여부에 달려있다”며 “현재 볼보차가 중국 사업에 온 힘을 쏟아 붓는 것은 현명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대다수 업계 전문가들은 여전히 볼보차가 중국 시장에서 직면하고 있는 도전도 간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전문적인 인재 결핍, 중국 내 생산력 부족 등이 바로 그 것. 여기에 볼보차가 중국 내 판매량을 늘리면서 지속적으로 볼보차 만의 고급스러운 브랜드 파워를 유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