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 등에서는 연 30%가 넘는 고금리를 내야했던 저신용자들에게 연 10%선의 금리를 적용한 것이야말로 햇살론의 인기비결로 꼽힌다.
하지만 햇살론이 서민금융지원제도로 인기를 얻은 만큼 풀어야할 숙제도 많이 남겨놓았다. 무엇보다 시장과의 공존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 햇살론의 취지는 좋지만 수익성을 따져야하는 금융회사 입장에서 무조건 퍼주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저축은행권 한 관계자는 “금융회사에선 대출 부실화를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를 감안하지 않고 햇살론 실적만을 중시할 순 없는 노릇이다”고 하소연했다.
이같은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최저신용층이 역차별을 당할 수 있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실제로 금융당국에 따르면 햇살론 전체 대출실적 중 9~10등급 서민에 대한 대출비중은 전체의 2.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달 27일 기준). 10등급만을 따졌을 경우 불과 0.5%수준이어서 ‘진짜 서민’은 여전히 소외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서민금융시장을 위협하지 않는 수준에서 햇살론의 금리조정이나 대출자격, 상품 조율 등이 뒤따라야한다고 말한다. 한 여신 전문가는 “채무불이행 전력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탈락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며 “리스크 관리를 감안한 금리조정을 한다면 서민지원 취지에 더 부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햇살론 도입 초기엔 시장 안착이 우선이어서 이런 고민을 할 여력이 되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일단 흥행에 성공한 햇살론으로써 오명을 남기지 않으려면 꼭 풀어야할 숙제다. 시장과의 공존을 모색할 때 진정 서민금융지원제도로 거듭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