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에 따르면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와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설립한 거시경제영향평가그룹(MAG)이 주요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자본·유동성 규제의 영향을 분석해 20일 발표했다.
합의안은 은행들이 2018년 말까지 보통주 자본비율을 최저 7%까지 높이는 것을 골자로 한다. 7%는 최저 필요자본 4.5%에 손실보전을 위한 완충자본 2.5%를 더한 규모다. 현재 전 세계은행의 평균 보통주 자본비율은 5.7%다.
은행들이 규제 자본비율과의 격차인 1.3%포인트를 메우기 위해 내년부터 8년간 자본을 쌓는다면, 오는 2018년 세계 경제의 총생산(GDP)은 규제를 도입하지 않았을 때보다 0.22% 줄어들 관측이다.
이는 국제금융연합회(IIF)가 4년간 자본비율이 2%포인트 오를 경우 GDP가 약 3% 감소할 것이란 계산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규제 도입이 GDP를 감소시키는 영향은 2019년 3분기에 최고조에 달했다가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관측됐다.
또 △은행 수수료 영업강화 △경영효율성 제고와 같은 영업모형 조정 △시장의 은행 증자 흡수여력 등의 제약요건도 이행기간이 8년으로 긴 것을 감안하면 중요 변수는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은행들은 이미 바젤Ⅲ 기준으로 자본비율이 10%를 넘어 목표 비율을 충족한 상태"라며 "국내 GDP에 미칠 영향은 매우 적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