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이날 안보강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천안함 설명회에서 "지난 14일 평택에서 장군들을 불러 모아 지휘관회의를 하면서 군인들은 책임지는 일이 아니면 잘 모른다고 말하곤 하는데 (천안함 관련해서) 뒤로 빠지지 말고 사실이 이렇다고 주위에 말할 것을 주문했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어제 비정부기구(NGO)를 대상으로 (천안함) 설명을 할 때 한 분이 하도 물고 늘어져서 저분의 의혹을 풀려면 제가 50년을 더 살아도 힘들겠으니 이제 중단하자고 했다"면서 "말 표현 가지고 시비를 걸고 무한정 끌고 가는 사람들이 있다"고 토로했다.
김 장관은 전시작전권 이양 시기를 재연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의지도 피력했다.
그는 "전시작전권 전환 시기는 5년4개월 정도 남았다"며 "이제는 물러날 곳이 없다는 심정으로 착실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용산 미군기지와 전방 미군기지 평택 이전이 2015년 말과 2016년 초에 끝난다"며 "그때 다시 (전작권 전환을) 연기하려면 한미 연합사를 평택에 다시 지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예산 소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중에 30%는 반미적인 성향이 있어 군사주권을 남에게 주고 군대를 쓸 능력도 없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제기한다"며 "그런 주장은 포퓰리즘적인 것이어서 일반 사람들이 쉽게 동조할 수 있으므로 이 때문이라도 2015년 말에는 전작권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hiwall@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