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규혁 기자) 대표적인 여름철 보양식인 삼계탕.
하지만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삼계탕 조리 시에는 교차오염을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삼계탕 섭취가 많아지는 초복을 앞두고 지난 5년 간 캠필로박터균에 의해 발생한 식중독 22건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닭 섭취가 많은 7월 발생이 8건(36.4%)으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국내 캄필로박터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건수는 7건으로 전체 식중독 발생률(228건)에 비하면 3% 수준에 머물렀지만 환자수는 52.5명으로 평균 식중독 발생 건당 환자수(27.2명)에 대해서는 약 2배 이상 높았다.
캠필로박터균은 소, 닭, 야생조류 등 동물의 장내 및 강물 등에 분포하는 식중독 균으로 가금류 도살·해체 시 식육에 오염되며 일반적으로 가열하거나 소독하면 소멸한다.
지난해 7월 한 학교에서는 충분히 가열하지 않은 삼계탕을 먹은 92명이 식중독에 걸리기도 했다.
식약청은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삼계탕을 조리 시 유의사항으로 △구입 시 냉장 또는 냉동보관 여부 확인 △밀폐된 용기를 사용과 다른 음식물과 접촉하지 금지 △육류 전용 칼·도마 사용 △ 손질 후 기구 및 용기, 손 등을 깨끗이 씻어줄 것을 당부했다.
mjk@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