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지난 25일 16개의 건설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되며 건설업계가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특히 이번 구조조정이 앞으로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번 금융권의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결과 발표에서 퇴출과 워크아웃 대상 건설사의 명단이 즉각 공개되지 않아 추측성 보도가 잇따르고 일부 건설사는 해명 자료를 내는 등 일대 혼란이 벌어졌다.
이번 구조조정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건설사는 C등급(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벽산건설 ▲신동아건설 ▲남광토건 ▲중앙건설 ▲한일건설 ▲청구 ▲한라주택 ▲제일건설 ▲성우종합건설의 9개사다.
퇴출대상인 D등급은 ▲금강주택 ▲금광기업 ▲남진건설 ▲진성건설 ▲풍성건설 ▲대선건설 ▲성지건설이다. 여기에 주택건설 시행사를 포함하면 33개로 늘어난다.
이들 업체는 대부분 주택 사업 위주의 건설사다. 주택사업의 경기가 좋았던 2008년 이전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했다가 글로벌 금융위기와 정부의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이 침체되자 회사 자금 사정이 급속도로 악화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이들 회사가 이미 분양한 후 입주하지 않은 사업지가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계약자들이 사업 차질과 브랜드 가치 하락 등을 이유로 계약 해지를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이뤄진 두차례 건설업 구조조정에서 퇴출이나 워크아웃 대상에 포함된 건설사는 한동안 분양 계약 해지와 중도금 납부를 거부하는 계약자가 많아 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더불어 해당 업체가 갖고 있는 미분양 주택 해소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쌓여 있는 미분양 주택을 하나라도 더 팔아 현금으로 유동화 시켜야 하지만 구조조정 업체에 포함되면서 이마저도 힘들게 됐다.
이번에 C등급 통보를 받은 A건설사 관계자는 "CㆍD등급 건설사 아파트는 아무래도 수요자로부터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특히 미분양이 많은 지역이나 최근 분양권 가격이 떨어진 단지에서는 계약자들이 이번 기회를 이용해 계약 해지를 요구할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CㆍD등급 건설사들은 공공사업이나 재개발ㆍ재건축 수주에서 불이익을 있을 것으로 보이며 보증기관들의 보증서 발급 거부로 새로운 공사 수주 및 기존 공사대금마저 제때 받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하도급 협력 업체들도 도산 위기에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이 협력 업체에 대한 대금 결제를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1개의 건설사에 300여개의 하도급 업체가 연결돼 있는 만큼, 수천억원의 피해가 예상된다. 게다가 C등급 건설사와 중복거래를 하고 있는 협력 업체가 어려움을 겪을 경우, 다른 건설업체의 공사현장까지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건설산업연구원 최민수 실장은 "워크아웃은 말 그대로 부실 기업을 정상화 시키는 작업"이라며 "금융권과 정부가 해당 기업이 조기에 경영정상화를 이룰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